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취미생활
- 알뜰노하우
- 청소상식
- 코디·스타일
- 생활노하우
- 컴퓨터 TIP & TECH
- [자동차 생활] 화제의 신차
- 생활의 지혜
- 컴퓨터 팁
- 생활정보
- 음식·요리
- 가정생활
- 주전자 부리 묵은 물때 식초 넣고 끓이면 깨끗
- 생활상식
- 국민은행 금융상품
- XP팁
- 주택·인테리어
- 패션·미용
- 모발·헤어
- 2008 프로 야구 한국 시리즈
- 혼수용품
- 알뜰정보
- 연애·결혼
-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 요리법
- 프로 야구 한국 시리즈
- 한우갈비
- 임신·출산·육아
- 피부관리
- 2008 프로 야구
- Today
- Total
생활노하우
한복 입는 법 & 절하는 법 본문
< 한복 입기 >
우선 한복을 입을 때는 속옷을 잘 입어야 한복 선의 아름다움을 살릴 수 있다. 내의를 입은 다음 그 위에 속바지와 속치마를 입고 속적삼을 입는다. 치마와 속바지가 달라 붙지 않도록 입는 속치마는 겉의 치마보다 2-3cm정도 짧게 입는다.
치마를 입을 때는 뒷 중심에서 양쪽으로 7-10cm 정도 여며서 입고 끈은 앞에서 묶는다. 이 때 치마자락은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즉 왼쪽으로 겉자락이 오도록 입는다. 저고리는 동정니가 잘 맞도록 맞춰서 목선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입는다. 깃 고대와 어깨 솔기가 뒤로 넘어 가지 않도록 약간 앞으로 숙여 입어야 한다. 이때 저고리 안에 입은 속적삼이나 치마허리 부분이 저고리 밑으로 보이지 않도록 조심할 것.
바지는 작은 사폭과 큰 사폭이 있는데,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도록 입는다. 그 다음 오른쪽의 큰 사폭을 허리 중앙에 접어서 고정시킨 다음 왼쪽의 작은 사폭을 접어서 그 위에 포갠다. 따라서 왼쪽 사폭이 위로 오게 된다. 그 다음 허리띠를 고름매는 것처럼 매서 여분이 저고리 아래로 내려와 겉으로 보이도록 한다. 바지 아랫부분은 대님 맨 곳을 여유있게 덮을 수 있도록 풍성하게 내려오도록 한다. 두루마기를 입을 때는 속에 입은 한복이 완전히 감춰지도록 할 것. 두루마기 역시 저고리처럼 앞으로 약간 숙여서 입으면 한복의 자연스러운 멋을 살릴 수 있다.
< 절하는 법 >
예쁘게 한복을 차려 입고도 절하는 것이 엉망이라면 공들인 것이 무색해진다. 큰 절을 해야 하는 건지 아닌지 은근히 걱정되는 신부도 없지 않을 것이다. 절에는 선절, 앉은절이 있고 앉은절에는 평절과 큰절이 있다.
큰절은 혼례 같은 의례시에 하는 것이므로 새해에 세배를 드릴 때나 평상시에 문안인사를 드릴 때는 평절을 하면 된다. 평절시에 주의할 점은 여자는 두 손을 포개면서 오른손을 위로, 남자는 왼손을 위로 놓아야 한다. 절을 하면서 인사를 드리는 경우가 많은데, 절을 하고 난 다음 바로 자세를 가다듬고 정중하게 어른을 바라보면서 인사말을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덕담은 어른이 먼저 내리고 나면 이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아랫사람이 덕담을 드려야 한다. 덕담은 '감사합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정도가 적당하다. 형과 아우 사이는 형 내외와 동생 내외가 함께 맞절을 하면되는데, 몸을 굽힐 때 동생이 형보다 먼저 몸을 굽혀 절하고 일어날 때는 나중에 일어나야 한다.
세배를 하고 난 다음 으레 따르는 세배돈. 이제는 명절날 세배돈을 받는 입장이 아니라, 결혼한 성인답게 부모님께 세배돈을 드리는 입장이다. 세배돈을 드릴 때는 잊지 말고 봉투에 깨끗한 돈을 넣어서 드려야 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 마신 녹차 티백을 이용하는 법 (0) | 2008.05.02 |
---|---|
포토샵으로 도장만들기 (0) | 2008.05.01 |
선인장 고르는 방법 (0) | 2008.05.01 |
*치약 100%활용방법 (0) | 2008.05.01 |
결혼 전 남편과 합의해야할 5가지 사항 (0) | 2008.05.01 |
냄새없이 생선굽기 (0) | 2008.05.01 |
감자채 볶음 맛있게 할려면 (0) | 2008.05.01 |
귤 오래 보관하기 (0) | 200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