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취미생활
- 한우갈비
- 모발·헤어
- 컴퓨터 팁
- 생활상식
- 2008 프로 야구
- 코디·스타일
- 연애·결혼
- 임신·출산·육아
- 2008 프로 야구 한국 시리즈
- [자동차 생활] 화제의 신차
- 국민은행 금융상품
- 컴퓨터 TIP & TECH
- 요리법
- XP팁
-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 패션·미용
- 혼수용품
- 생활노하우
- 청소상식
- 생활정보
- 프로 야구 한국 시리즈
- 생활의 지혜
- 알뜰정보
- 알뜰노하우
- 피부관리
- 주전자 부리 묵은 물때 식초 넣고 끓이면 깨끗
- 주택·인테리어
- 가정생활
- 음식·요리
Archives
- Today
- Total
생활노하우
금리의 조절방식 본문
금리의 조절방식
우리나라에서는 금리를 조절하여 알맞은 수준으로 관리하는 일을 중앙은행인 한국은
행이 맡아서 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재할인금리의 조정과 공개시장조작 등을 통해 금
리수준을 관리하고 있는데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할인금리 조정을 통한 금리조절>
1. 한국은행이 재할인금리를 내리면 시중은행이 대출자금을 마련하는 데 드는 비용
이 줄어들므로 기업에 대한 대출금리를 내릴 수 있게 된다.
2. 기업에 대한 대출 금리의 하락으로 금융시장에서는 전반적으로 금리가 내려가게
된다.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금리조절>
1. 채권을 사고 파는 공개시장조작을 통하여 시중에 풀려있는 돈의 양과 채권의 가격
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금리를 조절한다
2. 채권을 시장에 내다 팔면 시중의 돈의 양이 줄어들고 채권의 가격이 떨어져 금리
는 올라가게 되며 반대로 채권을 사들이면 돈의 양이 늘어나고 채권의 가격이 올라
가 시중의 금리는 떨어진다.
IDEA TIP
한국은행에서는 중소기업 지원 목적으로 재할인금리를 장시간 고정하고 있어 재할인금
리 조정을 통한 금리조절방식은 적극 활용하지 않고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클리의 한국 고서'(1) - 한겨울에 개구리를 구한 효자 ‘서능’ (0) | 2008.04.16 |
---|---|
美 대학도서관서 한국고서 '유일본' 대거발견 (0) | 2008.04.16 |
금리란 무엇이며 어떤 종류가 있나? (0) | 2008.04.16 |
금리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08.04.16 |
물가안정을 위한 방법 (0) | 2008.04.16 |
국민소득이란? (0) | 2008.04.16 |
환율의 종류 (0) | 2008.04.16 |
환율변동요인 (0) | 2008.04.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