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노하우

정서장애에 대하여 본문

생활정보

정서장애에 대하여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 4. 11. 06:38

정서장애의 의미와 특징을 알아봅니다.

1. 정서장애란?

정서장애란 용어는 광의의 개념으로 행동장애, 정신장애 및 이상행동 등과 같

은 의미로도 사용되며, 정상아동의 이상한 행동도 모두 포함된다.

표현방법이 일반인에 비해 편향되어 있거나 과격하게 표현하는 등 자신의 의지로

는 통제하기 어려운 상태로, 이러한 행동이 몇 번 반복되면서 극단적인 표현방

법을 통해 사회적으로 부적응을 초래하는 아동을 정서장애라고 한다.

불완전하지만 현재 받아들여지고 있는 정의는 다음에 제시하는 특성 중 일부가

장기간에 걸쳐 뚜렷하게 드러나고, 학업수행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태

를 말한다.

① 지적,감각적 혹은 건강의 요인들로는 설명되지 않는 학습 능력의 결여

② 또래나 교사와 만족스런 대인관계를 이루거나 유지하는 능력의 결여

③ 정상적인 상황하에서도 부적절한 행동 형태나 부적절한 느낌을 갖는 것

④ 일반적인 기분상태가 불행하거나 우울감이 지배적인 것

⑤ 개인적이거나 학교 문제와 연관되어 신체적 증상이나 공포감을 보임

이 정의에는 "정신병적 또는 자폐증적인 아동"도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심한 정서장애를 수반하지 않는 사회부적응아는 제외된다. 요즘은 외형

적 관찰이 어려운 정서라는 면보다는 드러나는 행동에 중점을 둔 행동장애라고

주로 지칭하고 있다. 행동장애에는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주는 과도한

행동이나 만성적 행동 특성을 가지며 행동이 정상에서 이탈된 아동, 부적절하

고 미숙한 아동, 그리고 성격적 문제점을 가진 아동들인 자폐증 ·전반적인 발달

장애, 주의력 결핍,운동과다 증후군 등의 아동들이 포함된다.

2. 정서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고려

1)공격성과 위축성

①공격적이고 외향적인 행동, 때리고, 싸우고, 남을 괴롭히고, 소리를 지르

고 , 요구를 거절하고, 사실을 왜곡하여 받아들이는 등의 행동을 나타낸다.

물론 일반아동들도 이러한 행동을 나타내지만, 정서장애 아동들에 비해 극단적

이거나 충동적이지도 않고 일시적이다.

②미숙하고 위축적인 행동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놀이

등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고, 또래와 잘 놀지 않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된다. ·

환상이나 백일몽에 빠지기 쉬우며·두려움이 많다.

약간의 통증에도 늘 불평하며 병을 핑계로 정상적 활동을 피한다.

2)자 폐 증

①사회성 발달의 장애(대인 관계의 발달장애)

- 부모들과의 애착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 다른 사람에게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고, 항상 혼자 놀려고 하며, 타인의 권

리나 감정 상태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②언어발달의 장애

-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유아자폐증아동의 경우 언어발달이 거의 일어나지 않거

나, 아주 지연되어 있다.

- 옹알이를 해서 주의를 끌거나 행동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력이 없

다.

- 언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자신의 이름을 부르면 돌아본다거나 또는 간단한

심부름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되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 언어가 어느 정도 발달해도 대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주로 혼잣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

- 말의 음조 리듬 억양이 특이하고 어색하며 반향어의 형태를 많이 띤다.

③행동상의 장애

-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을 하며 대소변 가리기가 흔히 지연된다.

- 머리를 부딪히는 등 자해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 다른 아동의 공격에 대해 적절한 방어 능력이 없으며, 먹는 습관, 자는 습관

등의 기본적인 행동에 있어서 장애가 올 수 있다.

- 손이나 목을 흔들거나, 손을 쳐다보는 등의 자기자극행동을 계속한다.

- 감각이상으로 통증과 소리에 대한 반응이 불규칙하다.

- 기분의 변화에 기복이 심하며, 모든 물체를 입에 넣기도 한다.

- 이러한 특성들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나 사회성 발달과 언어 발달상의

심각한 장애는 공통적으로 발견될 수 있다.

3)주의력 결핍

- 과잉운동장애

- 손과 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며, 움직이거나 몸을 꼰다.

- 가만히 앉아 있으라고 지시하여도 앉아 있지 못하고 돌아다닌다.

- 외부자극에 쉽게 산만해진다.

- 참을성이 없으며, 한가지 행동을 끝맺지 못하고 이것 저것에 신경을 쓴다.

- 다른 아이들이 이야기할 때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 자기 일이나 물건을 잘 잃어 버린다.

- 위험한 놀이나 행동을 많이 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회 참석의 바른태도  (0) 2008.04.11
지휘방법  (0) 2008.04.11
끝말잇기 필승전략  (0) 2008.04.11
사회과목 공부법  (0) 2008.04.11
장애인을 대할때의 기본적인 에테켓입니다.  (0) 2008.04.11
장애아 물놀이법  (0) 2008.04.11
시각장애에 대하여  (0) 2008.04.11
정신지체란...  (0) 2008.04.11
Comments